실리콘 밸리가 다시 호황을 맞고 있다. 101번 고속도로를 따라 들어선 비즈니스 파크들에는 성공을 꿈꾸는 스타트업 간판들이 다시 내걸렸고 임대료가 치솟고 부가 쌓이고 있다는 신호인 타호호와 같은 휴양지 고급 별장들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베이 에어리어는 반도체 산업과 그것을 기반으로 성장한 컴퓨터와 인터넷 관련 기업들의 산실이었다. 이곳 천재들은 터치스크린 전화기부터,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도서관 검색, 수천 마일 밖에서도 원격 조정을 가능케 한 드론 배터리에 이르기까지 세상을 좀더 미래지향적으로 바꿔놓은 놀라운 기술들을 세상에 선보였다. 2010년 이후 이곳 기업 활동 회복세는 이러한 흐름이 멈추지 않고 여전히 현재진행형임을 보여준다.
그렇지만 놀랍게도 실리콘 밸리 일부 사람들은 이곳이 여전히 침체를 겪고 있으며 지난 수십 년간 혁신 속도도 점차 느려지고 있다고 말한다. 페이팔 창업자이자 페이스북 최초 외부 투자자인 피터 티엘은 미국에서 혁신은 더 이상 희망이 없는 매우 절망적인 상태이거나 이미 죽은 상태 그 사이 어디쯤에 있다고 말한다. 다양한 분야 엔지니어들의 의견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또, 혁신이 가져올 경제적 효과가 과거에 비해 미미할 것으로 전망하는 경제학자들이 아직은 소수이지만 늘어나는 추세이다.
폭넓은 분야에서 생산 비용 절감에 중점을 둔 혁신이 시작되고 있다. 컴퓨터는 자연어를 해석하기 시작했고 사람들은 신체 움직임만으로 비디오 게임을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제어 기술은 곧 머지않아 여러 산업 분야에 실제 응용될 것이다. 3D프린터는 갈수록 더 복잡하고 다양한 물체들을 대량 생산해내고 있다. 이대로라면 3D프린터 생산 가능 목록에 인체 조직을 비롯하여 다른 유기 물질이 포함되는 것도 아주 먼 미래의 일만은 아닐 것이다.
혁신에 회의적인 사람들은 이것을 허황된 꿈일 뿐이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기술 주도 성장’을 진보와 퇴보의 끊임없는 반복 과정을 통한 결과물로 보지 않고 지속적인 성장이 아니면 쇠퇴라고 일방적으로 매도해 버리는 태도는 역사적 사실만 살펴봐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 예로, 시카고 대학의 채드 시버슨은 전기화 시대 생산성도 꾸준히 증가만 한 것은 아니라고 지적한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전기 기술의 중요한 혁신이 이루어지는 동안 성장 속도는 더뎠고 그러한 성장 둔화 과정을 겪고 나서야 속도가 급상승했다.